Recency : 얼마나 최근에 구매 했는가?
Frequency : 얼마나 자주 구매했는가?
Monetary : 얼마나 많은 금액을 지출했는가?
-> 사용자별로 얼마나 최근에 , 얼마나 자주, 얼마나 많은 금액을 지출했는지에 따라 사용자들의 분포를 확인하거나 사용자 그룹(또는 등급)을 나누어 분류하는 분석 기법을 의미한다.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선정할 때 용이한 데이터 분석방법이며 사용자들의 구매 패턴을 기준으로 분류를 진행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 그룹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마케팅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음.
이러한 식으로 분류할 수 있게되면 사용자의 특성별로 각기 다른 정책을 적용하고 서비스를 더욱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 세우기가 가능해진다.
<RFM SEGMENT>
구매내역의 경우, 기간 제한 없이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로 전체 기간 동안의 데이터라고 가정한다.
- Recency : 2021-01-01 기준으로 최근 한 달 이내에 결제되었는가?
- Frequency : 3 회 이상 주문했는가?
- Monetary : 500 달러 이상 주문했는가?
이 기준에 따라, 각 컬럼에 이러한 기록을 남긴다.
- Recency : 2021-01-01 기준으로 한 달 이내의 구매 기록이 있을 경우, 'recent' 이외 'past'
- Frequency : 3회 이상 구매 시 'high' , 3회 미만 구매 시 'low'
- Monetary : 500달러 이상 구매시 ,'high' 500달러 미만 구매시 'low'
변환된 데이터들을 기준으로 사용자군을 임의로 나누면
상황과 목적에 맞게 사용자 그룹을 뽑아 사용 가능하다.
<RFM 적용 시 고려할 점>
: '반드시' 의 기준은 없기에 비즈니스의 성격과 목적 그리고 상황에 따라 알맞은 기준을 세워 적용한다.
- Recency, Frequency, Monetary 를 각각 몇 단계로 나눌 것인가
- Frequency, Monetary를 집계하는 기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
RFM 기법을 적용한다하더라도 서비스에 따라 어느 서비스는 사용자 그룹을 3개로 어느 곳은 사용자 그룹을 5개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음.
* 추가적인 제언
분석을 할 때 필요하다면 Recency , Frequency , Monetary 를 기본으로 하고 회원 가입 일시 데이터까지 추가로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콘텐츠 소비 데이터를 Recency (얼마나 최근에 봤는지) , Frequency (얼마나 많이 보았는지) , Duration (얼마나 오래 봤는지) 로 나누어 비슷하게 사용자들의 등급을 분류해 볼 수 있다.
* 후기
현재 나는 데이터분석 인턴을 진행중이다. 많은 분석 기법에 대한 관심이 많은 상태였는데 이번 캠프를 통해 또 하나의 분석 기법을 알게 된 것이 너무 기쁘다. 사실 그전 회사 인턴을 진행하면서도 간단한 crm 업무를 수행했었고 고객 세그먼트를 통해 다양한 crm 관련 프로모션이나 기획 등을 어깨너머로 배웠는데 데이터리안을 통해 알게된 실무와 관련된 분석 내용이 참 재밌다.
데이터 분석가 그리고 사이언티스트로 향하는 이 길목에서 다양한 것들을 데이터리안과 함께 시도해보고 싶고 공부하고 싶다!
- 데이터리안 데이터 분석 캠프 입문반 23기를 참여하며 남긴 기록입니다.
- 모든 글은 데이터리안 RFM 분석 글을 보며 참고하였습니다.
'daily > business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텐션분석(2) (0) | 2024.05.15 |
---|---|
리텐션분석(1) (0) | 2024.05.15 |
cohort 분석 (0) | 2024.04.10 |
AARRR (0) | 2024.04.10 |
디지털 마케팅 chapter 1 (0) | 2023.08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