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말정산에 좋은 방법
https://www.mk.co.kr/news/economy/11137696
카테고리 : 경제
내용 핵심 : 연말정산을 위한 소득 공제 , 세액 공제 내의 가입 상품 가이드
연말정산은 주로 1월 중순 이후에 이루어진다.
- 소득공제 :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준다.
- 세액공제 : 세금 자체를 줄이는 공제로, 개인은 부과되는 총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납부하게 된다.
고소득자의 경우 소득공제가 연말정산의 핵심. 고소득자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면서도 세율 구간이 35% 이상인 사람이며 고소득자의 소득공제는 과세표준(세금을 부과할 기준이 되는 소득)을 낮춰서 높은 세율 구간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종합소득세율이 높은 고소득자에게 큰 혜택이 될 수 있음.
소득공제 - 벤처 투자
- 직접 투가 혹은 벤처펀드에 투자한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음.
- 투자 금액에 따라 소득공제율이 차등 적용된다.
소득공제 - 주택청약종합저축
- 1차적: 청약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 납입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 가능
- 매달 25만원씩 납입 시 연간 300만원 납입이 가능하며,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납입액의 40%인 120만원까지 소득 공제가 가능
청년형 소득공제 - 장기펀드 가입
* 사회 초년생과 소득이 높지 않은 소비자들의 경우 소득공제 대신 세액 공제에 집중할 수도 있음. 세액공제의 경우, 소득수준에 관계없이
세금 계산 후 세액에서 직접 차감되는 방식이므로,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근로자에게 절세 효과가 더 크게 느껴질 수 있음.
개인형 퇴직연금(IRP)
직장인뿐 아니라 개인사업자, 파트타임 근로자 등 소득이 있는 사람들은 다 가입할 수 있음. 은행의 대표적인 연말정산 대비용 상품이기도 하다. 연간 18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월 75만원씩 납입 시 900만원에 대한 세액공제가 이루어진다.
* 법에서 정한 사유가 아닐시 중도 인출이 어려우며 중도 해지 시 세금 부담 또한 크기 때문에 충분한 고민 이후 가입이 이루어져야 하낟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