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ily/business study
리텐션분석(1)
임이레
2024. 5. 15. 17:22
- Retention
다섯가지의 단계 중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하는 단계로 알려진 Retention은 기존 사용자들이 Acquisition , Activation 이후
이탈하는지 아닌지 즉, 서비스를 만족하며 사용하는지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보기 위한 측정지표이다.
1. classic retention '클래식 리텐션'
'N-day Retention' 이라고도 하며 일반저그올 '방문'을 기준으로 측정한다. 그러나 이 기준은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달라질 수 있다.
<e.g.>
- 특정 페이지 방문
- 특정 페이지 N번 방문
- 결제 클릭, 혹은 완료
- 특정 기능의 사용 등등
1-1 클래식 리텐션의 한계
사용 주기가 짧은 경우에 맞는 분석방법으로 메신저 앱 혹은 SNS서비스가 해당될 수 있다.
2. Rolling Retention '롤링 리텐션'
기준일을 포함 , 그 이후에 한번이라도 재방문한 유저의 비율을 나타낸다. 마지막 방문일 이전은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. 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.
-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매일 매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 사용자가 니즈를 가진 시점에 방문하면 되는 서비스의 경우, 클래식 리텐션보다는 롤링리텐션을 사용하여 분석해보는 것이 더욱 유용하다.
- 만약, 매일의 주기로 사용자에게 지표율을 높이기 위한 CRM 활동을 하는 경우에 (앱푸시, 쿠폰 발송 등과 같은) 장기적 사용자 유지에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.
롤링리텐션의 경우, 사용자들의 이후 접속에 따라 기존에 계산했던 리텐션 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.
3. Range Retention '범위 리텐션'
클래식 리텐션을 유연하게 확장한 개념으로 클래식 리텐션 같은 경우 특정 일/주/월 단위로 분석 지표를 살펴보는 것이라면 범위 리텐션은 구간을 유연하게 나눈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. 범위를 지정하기 때문에 Bracket Retention 이라고도 불린다.
어떠한 기준으로 데이터를 묶어서 리텐션을 측정해보는 방식
- 노이즈에 강하다. 우연한 경우로 접속을 안 하는 것과 같은 case의 경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.
- 주로 서비스 사용자 주기가 길거나 주기적인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한다.
log의 형태가 바뀌지 않고 동일하더라도 리텐션 방식에 따라 분석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.
- 우리의 비즈니스에 맞는 리텐션 분석을 해야하며 비교 분석 시에도 같은 리텐션 분석 지표를 쓰는 경우 비교 분석이 가능한 점을 기억해야 한다.
- 리텐션의 분석 방법은 한정지어지는 분석법이 아니다. 리텐션 분석에 대한 계산 방법과 특징들을 기반으로 우리 서비스에 맞는 리텐션 분석법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- 하나의 분석 방법만 쓸 이유가 없다.
- 일단, 쉬운 방법을 통해 계산하고 현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 숫자를 너무 많이 보기보다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.